넥서스 영한 사전

넥서스는 어학, 특히 영어 부분에서 꽤 많은 베스트셀러를 낸 출판사이다. 불과 팔구년전에 비해서 비약적인 발전을 한 회사이기도 하다. 그 영향력이 시사영어사(현 YBMsisa) 같은 회사와도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커졌다는 내 개인적인 시각에 반론이 많지 않을 줄로 생각한다. 그 회사가 이번에는 사전을 펴냈다. 정확하게 말해서는 다른말 사전을 옮겨 낸 것이다.

넥서스 영한사전은 우리나라의 많은 사전이 그러했듯, 영-화사전(영일사전)을 옮겨 온 사전이다. 오분샤의 렉시스 일화사전을 옮겨 온 것으로 표시하고 있다. 굳이 말하자면 시사영어사의 올인올(구 e4u/elite 영한사전)영한사전이 원전으로 하고 있는 사전의 손자 뻘 쯤 된다. 그러다보니까 본의 아니게 뜻이 비슷하게 나오는 경우도 쉽지 않게 목도 할 수 있었다.

영어사전의 중역에 대해서 좋지않은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도 있었다. 나 또한 그다지 좋지 않게 보는 사람중 하나이고 그러한 까닭에 자신의 나라 사람이 만든 사전을 사용하거나 더 나아가서 보다 나은 영어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영영사전을 사용해야 할 것이라고 말하는 사람이다. 하지만 얼마나 어댑테이션(번안) 하느냐에 따라서 달리 볼수도 있다고 생각했다.

그 구체적인 이유가 바로 이 사전이다. 이 사전은 중역을 하였으나, 나름대로 쉬운 어의를 사용하고 있었다. 같은 원전이라고 볼수 있는 YBM 측 사전에 비해서 보다 현대적인 번역을 취하고 있었으며(주: 몇몇 주요 단어에 대한 크로스체크를 하였으므로 전반적인 느낌은 사람마다 다를 수도 있겠다) 나름대로 한국어로 옮겼을때도 그 본래 뉘앙스가 해치지 않는 수준의 번역이었다고 생각했다(주 : 이는 영영사전과 몇몇 단어에 대한 크로스체크의 결과이므로 보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겠다). 이는 새로이 번역을 한 것이므로 당연하다고 할 수밖에 없다. 20여년전 사전을 원전으로 한 사전과 나온지 4년된 사전의 번역이 같을 수는 없을 것이다.

한편 쉬운 어의 사용외에도 시의감 있는 표제어 수록이나 풍부한 예문과 숙어가 맘에 들었고, 풍부한 문법과 연어/동의어 정보 그리고 Planet Board 코너(설문 조사를 통해 여러 표현 중에서 어떤 표현이 가장 실용적으로 사용되는것인지 나타낸 코너)와 Communication Expression(실용회화표현 코너) 등이 흥미로웠다.

그러나 몇몇 오타와 깔끔하지 못한 예문의 번역 등을 몇몇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점은 전반적인 사전의 신뢰성을 흠집을 내는 일이 아닐 수가 없었다. 내가 찾은 오류로는 갤런(gallon)에 대한 풀이에서 <영><미> 가 따로 나뉘어져 있어야 하는데 둘다 <영>으로 표시되어 있었던 점을 들 수 있었다. 그리고 중역을 한 까닭에 이해하기 어려운 단어를 그대로 쓰는 경우도 발견되었다. Hour 항목 밑에 …까지의 노정 처럼 이해하기 어려운 단어도 있었다. 물론 그 옆에 괄호로 [거리] 라고 표현하였지만 굳이 노정을 옮겨 적은 이유는 무엇일까 갸우뚱 하게 만들었다.

이번 사전은 역시 많은 사전에서처럼 우리나라 사람에 의해서 오롯이 쓰여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아쉬움을 낳지만 사전을 편찬하는 일의 방대함과 펴낸이의 규모를 보았을 때 어쩔수 없는 선택이었음을 이해한다. 오히려 나는 오분샤사라는 원저와 판권 관계를 떳떳이 밝혔다는 점을 높이 사고 싶다. 마치 텔레비전에서 했던 만화들이 전부 우리나라 만화였던 것 처럼 숨겼던 것처럼 감추고 쉬쉬하는 것 보다는 떳떳이 드러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그리고 더욱 나아가서 우리나라 사람이 만든 사전을 쓸 수 있는 날이 오기를 기대해본다.

영어 학습에 있어 구글의 의미

콜린스 코빌드 사전이 유행을 한적이 있다. 영절하의 영향도 있었지만, 많은 사용자들은 실제로 사용되는 단어에 대한 간명한 설명과 훌륭한 예문이 있었다는 점을 들고 싶었다. 사문은 배제하고 실질적으로 사용하는 표현에 집중을 한 점 또한 빼어난 장점이었다.

솔직하게 말해서 콜린스 코빌드 어드밴스드 러너스 사전의 장점은 그 탄생의 비결부터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바로 말뭉치(corpus)의 사용으로 인한 것이었다. 어마어마한 양의 텍스트를 수집하여 빈도 순으로 뽑아 추려내어 사전을 편찬하였기에 실제로 주로 사용되는 단어와 뜻, 그리고 예문이 나올 수가 있었던 것이다. 하퍼콜린스는 그것을 들어 “Bank of English’라고 불렀다.

이제 Bank of English에 엄청난 강적이 생겼다. 바로 그것은 구글(Google)이다. 구글은 한낱 검색엔진이 아니게 되었다. 구글은 인류가 이뤄낸 각종 정보의 데이터베이스가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정보는 수시로 갱신되고 있으며 구글이 뽑아내는 리스트는 네티즌들의 클릭을 포함한 복잡한 알고리즘에 따라서 가장 적절한 정보를 추려준다.

구글 예찬은 이쯤하고, 제목에서 적었던 영어 학습에 있어서 구글의 의미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다. 우리나라에서와는 달리 영미권역에서 구글의 영향력은 과히 우리나라에서의 초록색 검색 박스(네이버를 의미한다는 것을 누구나 알것이다)를 능가하면 능가했지 부족하지는 아니할 것이다. 그만큼 영어 컨텐트가 살아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구글의 데이터베이스는 사전의 그것보다 빠르고, 때로는 정확할 때가 있다는 점을 말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지금 활어처럼 뛰어다니는 어휘와 각종 표현들이 있으며, 어느정도 틀렸거나 비슷하지 않아도 바로잡아주는 메커니즘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오늘 나는 지난 10일자(미국시간)에 뉴욕타임스에 올라온 Thomas L. Friedman(뉴욕타임스의 저명 칼럼니스트로, 퓰리처상을 3회 수상한 바있으며, 저서로는 ‘렉서스와 올리브 나무’ ‘세계는 평평하다’ 등이 있다)의 컬럼 The Generation Q를 읽었다.
그러다가 문득 아래 볼드친 단어에 막히게 되었다.
“Whether it was at Ole Miss or Williams or my alma mater, Brandeis, college students today are not only going abroad to study in record numbers, but they are also going abroad to build homes for the poor in El Salvador in record numbers or volunteering at AIDS clinics in record numbers.”
내 모교인 Brandeis와 Williams 대학, Ole MIss(?) 어디에서건, 외국에서 공부하는 학생의 수 뿐 아니라 그들은 엘살바도르의 가난한 이들을 위해 집을 지어주기 위해 혹은 에이즈 클리닉에서 자원봉사하기 위해 해외로 간 수 또한 기록적인 수치였다.

도대체 Ole Miss가 뭘까? 사전을 뒤저보았지만 나오지 않았다. 그래서 차선책으로 생각해본 것은 웹스터 Unabridged 사전이었다. 없었다. 그래서 마지막으로 생각해본것이 바로 구글이었다. 구글에 Ole Miss를 쳐보자 곧바로 University of Mississipi 홈페이지가 제일 위에 뜬다. 머릴 탁하고 치는 느낌이 들었다. 저자는 칼럼 초반에 언급한 바가 있었다. Ole Miss는 미시시피 대학의 별칭이었던 것이다.그러므로 위의 번역에서 Ole Miss는 미시시피대학으로 바꾸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사전에 오르지 않은 단어도 구글은 답을 해줄수 있다. 그것이 속칭이던 별칭이던 간에 말이다. 이번에는 좀 더 재미있는 예를 들어본다.

“Martin Luther King and Bobby Kennedy didn’t change the world by asking people to join their Facebook crusades (중략) Activism can only be uploaded, the old-fashioned way–by young voters speaking truth to power, face to face, in big numbers, on campuses or the Washington Mall. Virtual politics is just that — virtual.”
마틴 루터 킹 목사와 바비 케네디(Robert Francis “Bobby” Kennedy; 존 F 케네디의 동생으로, 미 법무장관을 지냈음, 흑인 민권 운동에 기여함; 이것도 구글에서 찾아냈음) 는 그들의 Facebook에 참여함으로써 세상을 바꾸어 나간것이 아니다. 실천주의는 오로지 구식의–젊은 유권자들이 많은 수의 사람들이 직접 캠퍼스나 워싱턴 몰 에서 권력자에게 진실을 말하는 등–방법으로만 가능하다. 가상 정치는 그저 가상일 뿐인것이다.

두가지 단어가 골치였다. 과연 Facebook crusades에 참여한다는 것이 무엇이란 말인가? 와 Washington Mall이 무엇인가를 알아내어야 했다. 두 단어 모두 저자가 하고자 하는 말의 요지를 전달하기 시작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사소한 단어를 놓쳐서는 안된다고 나는 생각했다. 그래서 역시 이것 또한 구글링을 해보기로 결정했다.

Facebook과 Washington Mall 모두 쉽게 정답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첫번째는 미국에서 유행하는 일종의 싸이월드 같은 소셜-네트워킹 사이트였고, 두번째는 National Mall 혹은 The Mall 이라고 불리우는 미국의 국가 사적지로 일전에 마틴 루터 킹 목사가 “I Have a Dream” 연설을 한 장소였다. <포레스트 검프> 같은 영화에서도 종종 나오는 워싱턴 기념탑(Washington Monument; 오벨리스크 모양의 석탑)이 있는 그곳을 말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생각을 해보면 나는 Washington Mall을 입력했다. 그러나 구글은 넌지시 최상위 결과로 National Mall로 향하는 링크를 건넸다. Ole Miss 때도 마찬가지였다. Ole Miss와 미시시피대학의 연결을 구글은 찾아냈고 미시시피대학의 링크를 꺼냈다.

저자는 지금의 세대가 너무나도 온라인에 집착하고 너무나도 조용하게 정치에 참여한다면서 현실 정치에 제대로된(결국 젊은 세대가 떠맡게될 부담을 없애줄)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자리에서 일어나서 싸워야 한다는 것을 여기서 의미하는 것이었다.

내가 유명 칼럼리스트의 글을 한편 읽으면서(A4용지 3매 분량), 구글에게 세번 빚을 진 셈이다. 이것이 구글이 영어 학습에 미치는 단적인 영향이라고 생각한다. 사전에도 없는 단어가 구글에서는 있다. 그리고 그 검색 결과는 학습자에게 영미 문화의 최신 정보는 물론 역사와 현실을 알려주는 열쇠가 된다. 독해를 하다가 궁금한게 생기면 구글에게 물어보라. 구글은 알고 있다.

* 컬럼 원문은 여기에서 보실수 있습니다.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