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랭클린 플래너 100배 활용하기 (6) – 위클리 컴파스를 왜 사용하는가?

프랭클린 플래너에 꼭 들어있는 것이 Weekly Compass라는 책갈피이다. 이 책갈피에 Weekly Compass 카드를 꽂아 사용한다. Weekly Compass 카드는 한팩에 52장이 들어 있는데, 여기서 볼 수 있듯이 한주에 한장씩 떼어내서 사용한다. 위클리 컴파스를 왜 사용하는 것일까? 위클리 컴퍼스는 이름 그대로 자신의 사명과 목표, 그리고 일일 생활간의 간극을 줄여주는 역할을 해주고 자신의 사명과 목표의 방향으로 가르쳐 주는 것이 바로 위클리 컴퍼스 사용의 이유이다.

매일매일 우리는 ‘해야할 일’의 연속이다. 프랭클린 플래너가 주창하는 것은 스티븐 코비 박사의 이론, 소중한것을 먼저하라는 것을 실천하도록 돕는 것이다. 만약 위클리 컴파스가 없다면 우리는 매일매일 해야하는 허드렛일(chore)들에 정작 중요한 일들은 아예 생각도 못하게 될 것이다. ‘좋은 가족’이 되자라는 목표를 세워두었다면, 그것을 실행하려는 엄두도 하기전에 내 우선 업무는 이를테면 김부장 메일, 거래처에 팩스 같은 것들로 그득하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일일히 목표란을 살펴봐가면서 할수는 없는 노릇이다. 위의 예처럼 좋은 가족이 되자는 목표를 정했다고 해서 그것을 덩그러니 좋은 가족이 되자라고 우선 업무에 적을 수는 없는 것이다. 도대체 뭘 하라는 건지 알수가 없지 않은가 말이다.

위클리 컴파스는 한주에 한장을 꺼내 쓰는데, 그 시점은 주말이 될 수도 있고, 주초가 될수도 있을텐데, 어찌됐던 중요한것은 그 시점에 자신이 생각하기에 무엇을 해야하는지 고민해야 한다는 것이다. 앞선 포스트에서 프랭클린 플래너의 미학은 자르기라고 했는데, 그 시점에 자르기를 해야하는 것이다. 좋은 가족이 되자를 잘라보는 것이다. 마치 초등학교 때 교장선생님이 하는 훈화 말씀에서 정해주는 주간 목표마냥, 그 주에 맞도록 잘라보는 것이다. 으음… 이번주에는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 좋은 아버지가 되기로 정했다고 쳐보자, 이주 금요일에 아들 생일이 있다. 그것을 위클리 컴파스에 넣어보자.

그리고 매일 아침 위클리 컴파스를 살펴보자, 메일을 보내고 하수구를 뚫는 따위의 일을 적는 것보다 최우선적으로 말이다. 아직 월요일이고 시간이 있다. 오늘은 “파티를 할 장소 고르기”와 “선물 고르기”를 적자. 그리고 나서 이제 해야하는 일을 적어보자. 이렇게 우리가 목표로 하는 일을 최우선적으로 ‘도출’ 해낼 수 있다. 이런식으로 나머지를 해나가면 된다.

고향 잃은 설움 – 정지용 ‘고향’




고향 – 정지용

고향에 고향에 돌아와도


그리던 고향은 아니더뇨.


산꿩이 알을 품고


뻐꾸기 제철에 울건만,


마음은 제 고향 지니지 않고


머언 항구로 떠도는 구름.


오늘도 메 끝에 홀로 오르니


흰 점 꽃이 인정스레 웃고,


어린 시절에 불던 풀피리 소리 아니 나고


메마른 입술에 쓰디쓰다.


고향에 고향에 돌아와도


그리던 하늘만이 높푸르구나.


좀 어이 없겠지만 첫눈이 URL 등록을 멎은 지금으로, 이러한 기분이 든다. 내 홈페이지가 과연 검색엔진의 척도가 될수 있을런지는 모르겠지만 이미 구글을 비롯해서 MSN이나 야후!(미국)에서도 푸른곰을 치면 내 홈페이지가 상위에 나오는 판국에… 첫눈은 발끝도 못쫓아온다.

슬프게도 지금 첫눈은 멎은거나 다름없어 보인다.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