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라는 비밀 결사 모임

트위터가 아픈 모양입니다. 사실 블로그는 제쳐두고 트위터에 엄청난 시간을 쏟아 붓는 저로써는 매우 안타까운 사실입니다. 좋은 서비스라면 돈을 내는 저로써는 무료로 대안이 있는 서비스가 있더라도 가령 RSS 서비스인 feedbin이나, 북마크 서비스인 Pinboard에 얼마간의 돈을 냈거나 내고 있습니다. 물론 엄청난 반발과 이탈을 피할 수 없지만 트위터가 돈을 받겠다고 하면 기꺼이 내겠어요.

하지만, 트위터의 근본적인 문제는 단순히 트위터의 매출에 있다고 보지는 않습니다. 물론 트위터는 여러가지로 문제가 있습니다. 월트 모스버그는 The Verge(더 버지)의 컬럼에서 여러가지 문제가 있지만 가장 큰 문제는 쓰기 난해하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사실 몇 달전에도 바로 얼마 전에도 어떤 식으로 트위터 초심자가 접근을 하면 좋을까 설명하는 글을 쓰려고 시도는 했습니다만 너무 방대한 여정이 될 것 같아 현재로써는 보류 상태, 즉 초고 상태인 채로 남아 있습니다. 언젠가 끝날지 모르지만 정작 그 언제가 언제가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할 일 관리 프로그램에서 비활성화 시키는게 건강에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트위터 사용의 난해함은 모스버그 옹이 잘 설명했으니 한번 읽어보시기 바라겠습니다. 시간이 허용한다면 번역도 생각해 볼 참입니다만. 여하튼 저는 그것과는 조금 다른 트위터의 감정적인 측면에 대해서 얘기해 볼 참입니다.

트위터를 시작한게 2009년입니다. 사실 그 때부터 꾸준히 트위터를 하시는 분도 계시고(연락이 따로 되는거는 아니지만), 아니면 그 이후에 시작하셔서 교류가 있는 분도 계십니다. 아이러니한건 2010년대 초반들어서 교류가 있었던 분보다 2010년대 중반, 그러니까 비교적 최근에 알게 된 분과 교류가 좀 더 잦습니다. 사실 꽤 많은 분들을 팔로우했는데 크게 나뉘면 뉴스를 전달하는 계정, 그리고 IT 관련, 마지막으로는 서브컬쳐 계열입니다. 작년 3/4분기에서 4/4분기 정도쯤에 저는 트위터 프로필에 ‘오타쿠’라는 점을 명기했습니다. 그러니 꽤 오랫동안 팔로우했던 오타쿠 여러분이 팔로우 백(follow back;맞팔)을 해주셨습니다. 그 외의 분들에게도 마찬가지지만 이 자리를 빌어 (조촐하게나마)영광이라는 말씀을 드립니다. 사실 지난번에 오타쿠에 대해서 장황하게 썼을 때도 말씀 드렸습니다만 오타쿠라는 집단은 꼭 국정원의 옛날 목표를 떠오르게 합니다. ‘우리는 음지에서 일하고 양지를 지향한다’였나요? 몇몇 분들은 제가 ‘고고한’ IT 블로거로 남아 있었다면 팔로우하지 않으셨을겁니다. 장담하죠.

트위터는 초심자에게 불편한 서비스입니다.

“여유 시간”에는 사람들은 일을 하고 싶어하지 않는데, Twitter는 그런 일을 필요로 합니다. 당신의 흥미를 알아야 하고, 누구를 팔로할지 알아야 하고, 거기에 더해 필터링되지 않은 트윗에서 당신이 흥미로워할 내용만을 뽑아내야 합니다. 반면 Facebook은 그 모든 작업을 알아서 해 줍니다. (중략) Twitter 식으로 말하자면, Facebook은 자신의 관심 그래프(interest graph)를 만들었고 Twitter가 이루지 못한 정도로 훨씬 뛰어나며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했습니다. 물론, Twitter는 NBA 트위터나 저와 같은 뉴스 사냥꾼 (그리고 이 글을 읽는 대부분의 사람들)과 같은 니치를 소유하고 있습니다만 – 중국을 제외한 – 세계의 다른 모든 사람들은1 Facebook을 가장 먼저 체크할 것입니다. 아침뿐만 아니라 여유 시간이 있다면 언제라도요. 요약하자면, Twitter가 서비스를 다시 한 번 써 보도록 권유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이미 그것도 새 사용자를 불러오는 것보다 어려운 일이지만요. 설사 마술같이 서비스가 완벽한 알고리즘 기반 피드로 뛰어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고 해도, 그게 필요한 사용자가 왜 Facebook 피드 대신 그걸 봐야 하는지에 대한 이득이 분명하지 않습니다. – How Facebook Squashed Twitter- Ben Thompson / 나가토 유키님의 번역 발췌.

저는 몇년 트위터를 했고, 그러다보니 관심사를 가진 조그만한 몇 개의 ‘그룹’에 들어갔습니다. 이것은 페이스북의 그룹이나 그런 것과는 다른데 말이죠. 실체가 없습니다. 가령 A와 B는 서로 친구입니다. 여기에 C가 A를 팔로우하고 A가 C를 다시 팔로우해서 맞팔이 됩니다. 근데 C가 A와 B 두 사람의 구미를 맞는 글(트윗)을 쓰면, A는 이를 리트윗하고, B는 C의 프로필과 트윗을 보고 C를 팔로우하게 됩니다. 그러면 C는 A와 B의 그룹에 들어가게 됩니다. 간단하게 3명만 이야기하면 몇 안되어 보이지만 실제로는 이 ‘그룹’은 작게는 몇 명에서 많게는 수십명 수백명이 될수도 있기 때문에 이 안에 들어갔을때 트위터에서 자신의 발언의 영향력은 천양지차가 됩니다. 혼자서 막 시작해서 팔로워가 없고 지인도 없다면 그야말로 독방에 갇혀서 혼잣말을 하는 느낌이지만 한 번 ‘그룹’에 들어간다면 트윗 하나 둘에도 통통통 반향이 있어서 ‘쓰는 맛’이 있습니다. 재미있어요. 그러면 마치 펀치 라인(punchline;네타)를 구사하면서 관객들을 웃기는 코미디언 같은 기분이 듭니다. 반응이 좋을 만한 일침이나 순간의 번뜩이는 재미있는 생각, 고찰거리를 트윗하고 코미디 쇼의 관객들이 웃어 대듯이 반응이 오는거죠. 리플라이든, 리트윗이든, 좋아요든. 그러면 신나서 또 뭔가를 궁리하게 됩니다. 은근히 중독성이 있습니다.

해서, 그렇다면 이 그룹에 들어가지 못한다면 어떨까요. 재미가 없습니다. 물론 설령 저 사람이 나를 팔로우해주지 않는다 치더라도 멘션을 보내서 의사소통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다 보면 팔로우할 수 있기도 하죠. 적어도 저는 합니다. 근데 문제는 막상 처음 시작한 분들을 팔로우하려고 한다면 문제는 이 분들이 올린 글이 별로 없어서 사실 트윗량이 많지 않으므로 팔로우해도 큰 부담은 없지만 이 분들이 뭘 올릴지 모르기 때문에 팔로우 백하는것이 망설여지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악순환인거죠. 아마 지쳐서 트위터를 나갈지도 모릅니다.

거기다가 아까전에도 잠시 언급했지만, 정교하게 리스트를 관리하지 않는 이상 홈 타임라인에 넣고 읽을 수 있는 범위는 한정되어 있습니다. 기껏해야 수백명에서 많아봐야 천명 언저리일까요. 그러다보니 처음 시작하는 사용자들의 많지 않은 트윗을 받는것이 큰 부담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팔로우백에는 소극적이 됩니다. 수천 수 만명의 팔로워와 팔로잉을 가진 소셜 미디어 운동가가 아니면 말이죠. 그분들은 트윗을 전부나 읽기는 하나 몰라요. 여튼 수용 가능한 한계가 있어서 새로운 사용자들에게 ‘끼워 줘’라고 말하기가 힘듭니다. ‘끼워 줘’, ‘응, 그래 이리와 같이 놀자’가 안되다보니 멀리서 ‘얼레리 꼴레리~ 푸른곰은 관심 종자래요~’ 같은 ‘어그로’성 트윗 혹은 멘션을 하거나 순간적으로 관심을 끌기 좋은 차별 발언(젠더 이슈가 대표적)이나 정치적인 문제 에 관한 헛소리를 해서 ‘광역적인 어그로’를 일으키는 등 자극성이 올라갑니다. 그런 이유로 기존 사용자들은 신규 사용자들을 더 경계하고 배타심이 생기는 악순환이 형성 됩니다. 놀이터에서 친한 친구끼리 잘 놀고 있는데, 엄한 녀석이 와서 어그로를 끌어대니 앞으로는 못 본 애가 와서 말만 걸려해도 반쯤 털이 곤두서서 언제든 갸릉거릴 태세고, 그걸 보고 끼워달라고 할 용기나 ‘적의 없음’ 혹은 ‘선의’임을 나타낼 시간이나 노력을 기울일 수 없다면, 언제든지 복잡한 룰 따위는 버리고 ‘친구들이 가득한’ 페이스북으로 가서 놀면 됩니다.

솔직히 말해서 트위터가 극적으로 나아질 것을 기대하지 않습니다만, 적어도 한국에 있어서 트위터의 동맥경화 혹은 뇌혈전은 사용자 스스로들이 만든 감이 없지 않아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트위터가 매우 강세라서 2015년말 기준으로 보면 페이스북보다도 사용자가 많습니다만 NHK에서 소셜 미디어(라고 쓰고 라인이나 트위터)를 쓰는 일본 고교생의 모습을 보여준 적이 있는데 친구들끼리 ID를 교환해서 쓰는 계정과 ‘취미’ 등을 숨어서 하는 계정 등으로 나눠서 사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쉽게 말하면 실제 생활에서 만들어진 그룹으로 들어가는 모습이 인상 깊더군요. 사실 이게 페이스북의 장점이니까요. 글쎄요, 저도 제 ‘리얼 ID’의 계정이 있지만 사용은 거의 안합니다. 사실 주변 사람 중에서 트위터 하는 사람이 얼마 없어요. 필요성을 못느끼는 건지도 모릅니다만, 트위터가 사용자를 늘리기 위해서는 오프라인의 친구를 끌어들이든, 아니면 이미 사용하는 사용자들과 위화감 없이 섞이도록 유도하거나 해야할 것 같습니다만, 우리가 그러듯이 서로 ‘끼리끼리’ 논다면 백날 그래봐야 소용이 없겠죠.


  1. 여담으로 그는 일본의 사정을 몰랐나 봅니다.

Posted

in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