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독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혹시 푸른곰이 좀 뜸하다? 라고 생각하신다면… 죄송합니다. 제가 유례없이 건강이 악화되어서 사실 학교도 쉬고 있고… 해서 말이지요. 그래도 트위터 @purengom에 IT나 단상을 수시로, 마이크로블로그인 텀블러 http://purengom.org를 이따금 업데이트 하고 있으니 참고해 주십시오. 감사합니다.
내가 트위터 팔로윙/팔로워를 적극적으로 늘리지 않게된 이유(=맞팔을 포기한 이유)
이번 도호쿠 태평양 연안 지진 사태에서 나는 내 나름대로의 정보력을 풀 가동했다고 생각한다. 아마 평생 읽었던 양보다 더 많은 양의 일본어 텍스트를 읽고, 사전을 뒤졌으며, NHK는 실시간으로 들었다. 그리고 그 중 상당수 정보는 트위터를 통해서 발신되었다.
헌데, 참 안타까운 사실은 지진 초기에 언론에서는 우왕좌왕하며 CNN에서 NHK를 번역한걸 재인용하질 않나 특보하나 제대로 하지 않다보니 문제가 참 많았다. 나중에 가니 도쿄 나가노 오사카 히로시마 후쿠오카의 지인을 찾는 안부 RT가 퍼지질 않나, 각종 미확인 루머가 RT되었다.
사실 다른 나라에는 없고 우리나라에는 있는 기이한 존재가 하나 있는데 파워트위터가 아닐까. 뭐하는 건지 당췌 알지 못할 인간들이 수만명의 팔로워를 가지고 있고, 또 맞팔을 한다. 맞팔을 할 수 없으면 블록을 한다. 프로텍트 계정이 맞팔을 걸면 블록을 건다. ‘맞팔을 걸수 없어서’란다. 그런식으로 맞팔율 100%를 만드는 인간들이 수두룩하다.
뭐 맞팔율을 100%를 만들던 팔로워를 줄을 세우던 RT봇을 하던 내 알바 아니다. 문제는 수만명의 팔로워/팔로윙을 가지고 있다보니 제대로 확인되지 않은 소스를 무작정 RT하다보니 수만명 더 나아가 그 수만명의 팔로워들에게 잘못된 정보를 전파하는 병신 짓을 해버리는 것이다. 하도 많이 흘러나오고 멘션함은 하도 불이나고 누굴 팔로했는지도 다 기억안나니 그냥 RT해버리니 나오는 일이다. 사실 ‘만팔’이 현명하게 가려서 팔로윙 하고 있다 리트윗했다면 루머를 줏어듣고 리트윗하는 일은 없을 터인데. (좀 과격한 표현인데) 개나소나 다 맞팔 해주다보니 별 소리를 다 듣고 흘린거다. 나는 이에 대해서 “썩은 루머 자판기”라고 표현한 바가 있다.
사실 트위터는 마이크로 블로깅/구독 네트워크이다. 내가 이렇게 블로그에 글을 쓰는것을 대폭 간소화 한것이고, 이것을 RSS로 구독하거나 직접 들어오는 것을 대폭 간소화한 것이 트위터인데, 불필요하게 많은 팔로윙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다시 말하면, 내 타임라인에 들어오는 정보를 필터링할 도리가 없다는 것이다. ‘리스트가 있어요’ 라지만, 리스트는 organization(정리)정도는 해줄 수 있어도 타임라인을 대체해줄 수는 없다. 개인이 보유할 수 있는 리스트도 한정되어 있고, 넣을 수 있는 사람도 한정되어 있다. 또 20개까지가 맥시멈인데, 그 리스트에 사람을 일일히 넣고 빼고, 들어가서 보는 정성도 솔직히 한정되어 있다. 항상 말하면 1/n이다. 돌려서 말하면, 1만명 팔로윙을 리스트를 써서 정리가 잘되요! 하면 난 이렇게 반박할 수 있다. 1000명 팔로윙을 리스트를 쓰면 더 확실히 정리할 수 있습니다. 당연한 얘기 아닌가.
솔직히 이번 사태가 터지고 나서 나는(물론 딱 한분 빼먹는 중대한 결례를 범했는데….) 일본 현지에 계신 트위터 지인들 리스트를 파악해서 현지 상황을 취득하고 트위터로 돌아다니는 각종 루머의 사실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것과 한국에서 취합할 수 있는 일본 뉴스를 바탕으로 한국에 ‘이것은 사실이 아니다’ 라고 정정해서 발신할 수 있었다. 즉, 다시 말해서 내 팔로윙 규모는 아직은 어떤 사태가 발생했을때 어느 사람을 찾아야겠다라는 것을 궁리할 수 있을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다는 것이다.
만명의 팔로워를 가지던 십만명의 팔로워를 가지던 그건 문제가 아니다. 다만 중요한 건 만명의 팔로윙을 가진것은 필견 비정상이다. 그 사람은 절대로 그 정보를 제대로 처리할 수 없으며, 특히 고 모씨처럼 멘션함이 불이 나는 사람은 더더욱 그것을 기대할 수 없을 것이라고 장담 가능하다. 평시에는 어찌저찌 그냥 흘러가는대로 캐치 하는지 모르겠으나 이런 비상시에는 정말 ‘썩은 루머 자판기’가 되어서 온 세상에 독을 퍼붓는 그야말로 도처에 퍼져있는 후쿠시마 원전들인 셈이다.
그런 까닭에 나는 필요한 정보만을 얻기 위해 과감하게 언팔을 하며, 무조건 맞팔을 하지 않기로 했다. 대신 내가 언팔당하는 것에 연연하지 않기로 했다. 트위터는 내가 하고 싶은 말을 하는 곳이지 팔로워를 늘리거나 하기 위한 곳이 아니다. 그런데 흡사 누구는 고에이 삼국지 류의 육성 게임을 연상시키듯이, 이러면 팔로워가 는다, 팔로워가 준다 류의 말을 한다. 그들에게는 나를 비롯한 팔로워가 게임의 스탯치로 보이는것이고 트윗은 공략을 위한 게임 조작에 지나지 않는가? 알 수 없는 일이다. 하여간 그런 이후로 훨씬 트위터 하기가 즐거워졌고. 내 할 말을 하니 마음은 시원해졌다. 아무튼 역설적으로 팔로워는 더 늘었다.
일본 지진 사태와 언론의 헤드라인을 뽑는 주관
글을 시작하기 전에, 금번 일본 도호쿠 태평양 연안 지진 피해자와 그 가족, 일본 국민에게 심심한 위로를 드립니다.
제가 일전에 이런 글을 쓴적이 있습니다.
2008/07/02 – 한국 신문은 전부 삼류 찌라시일 수 밖에 없는 이유.
이게 벌써 3년전의 글이라니 놀랍습니다. 그 당시에는 흔히 말하는 촛불 정국이었고. 저 자신도 시사에 상당히 개입하던 시절입니다만. 지금은 건강 문제도 있고 야인으로 지내고 있습니다. 헌데 이번의 일본 지진 사태를 보면서 이 한국 언론의 ‘촉새스러운’ 헤드라인 뽑기가 아주 멋지게 꽃을 피웠더군요.
‘일본 침몰’….
3년이 지나도록 변함이 없군요. 글을 맺으면서 헤드라인을 향한 방식을 바꾸더라도 100년은 멀었다고 했는데. 어째 3년이 지나도 변함이 없으니 100년을 향한 카운터는 리셋을 하고 다시 100부터 시작입니다. 안타깝군요. 당시에 -물론 양비론으로 들릴지 모르겠으나- 한겨레와 중앙을 모두 ‘깠습니다’ 그러나 솔직히 말해서 니나 너나 잘한거 없어서 깠습니다. 헤드라인을 뽑는데 있어서 너는 너 좋은데로 쓴거고 니는 니 좋은데로 쓴거기 때문이죠. 아, 물론 ‘나의 주관, 나의 철학은 언제든지 맞아’라는 자신감이 있으면 참 든든하고 당찬 태도로 거 참 나름 대로 좋습니다만, 촛불 사태나 이번 일본 지진 사태와 같이 사태가 급박한 상황에서는 되도록이면 최대한 드라이하고 차분하게 서술해서 판단을 독자에게 미루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실, 이전글 공짜 점심은 없다. 공짜 언론에서 무엇을 바라나? 에서도 언급했듯이 금전본위의 황색저널리즘이 판치는 가운데, 그나마도 돈도 지불하지 않는 우리나라 언론계에서 선정성이 없다면 이제는 살아 남을 수 없는 구조가 되었습니다. 헤드라인은 저널리즘을 위한것이 아니라 이제는 종이매체라는 기성언론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무기로써 전락해버렸습니다. 헤드라인 하나가 사람을 죽이고 회사를 망하게 하고 사람을 띄우고 회사를 흥하게 합니다. 이런 단 맛이 가득한 것을 포기하고 객관적인 서술을 하라는 것은 이미 권력화된 우리 언론에게는 무리일 수도 있습니다.
문제는 이것이 소위 말하는 진보 언론, 대안 언론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다는 사실입니다. 이는 결국 이들 또한 바라는 것은 궁극적으로 언론 권력의 정점으로 올라서서 자신의 목소리를 키우려는 것 밖에 아닌가. 라는 의심을 지우지 않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