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스타벅스를 가는 까닭은?

흔히 맥도널드를 일컬어서 전세계 어디서나 동등한 맛을 저렴하게 제공하는 곳이라고 폄하를 하지만, 가끔은 ‘전세계 어디서나 동등한 맛’을 비슷한 수준의 가격으로 즐길 수 있다는게 얼마나 절실한 것인지를 해외에 나가보면 가끔 느낄 때가 있습니다. 물론 현지의 식도락을 즐길 수 있으면 얼마나 좋겠습니까만, 해외에 나가서 몸이 아프고 정신 없을때는 식도락이고 현지인이고 뭐고 눈에 보이는 패스트푸드 점만큼이나 안심스러운게 없더군요. 덕분에 무척이나 유감스럽게도 어렵사리 갔던 여행 2일차 점심은 한국과 대동소이한 햄버거였습니다.

이야기가 샜습니다만, 제가 스타벅스를 가는 까닭에 대해서 몇몇 분들이 오해를 하시기 때문에 이를 좀 바로잡고 싶습니다. 간단하게 말해서 스타벅스가 최고다 라고 해서도 아니고, 스타벅스의 분위기를 탄다 또한 아니고, 스타벅스의 사이렌이 그려진 컵을 들면 뭔가 있어보여서도 아닙니다.
스타벅스야 말로, 커피계의 맥도널드이기 때문이죠. 뭔말인지 아시겠는지요? 제가 스타벅스에 죽치고 앉아 있었을 때 얘기입니다만, 몇분의 ‘파트너’와 개인적으로 알고 지냈습니다. 한가지 느낀 사실은, 물론 경력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어딜가나 스타벅스의 초록색 사인 아래에서는 거의 용인할 수 있는 동일한 맛이 나온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빼어난 수준이던 아니던 말이죠. 스타벅스가 우수한 품질이다 라고 하면 코웃음 칠 분도 있지만, 스타벅스 만큼이나 거대한 체인이 일정한 수준의 품질을 제공함으로 인해서 전반적인 업계나 고객의 기준이 상승했다는 사실과 어느 정도의 디팩토 스탠다드를 규정했다는 것만큼은 인정할 수 밖에 없을 듯 합니다(이 기준으로 볼 때, 솔직히 파XXX의 경우에는 스타벅스보다 맛이 없고, 커XX은 비싸죠…).
물론 좋은 바리스타가 정성껏 하우스 로스팅해서 제대로 뽑아주는 이상적인 크레마가 띄워진 에스프레소나, 바리에이션도 좋지만, 그게 어떻게 보면 지뢰찾기 같아서, 높은 확률로 지뢰를 만날 가능성이 높은 것도 사실입니다. 잘 알고 지내는 가게를 간다면 모를까, 생판 모르는 곳에 떨어졌을때 스타벅스의 사인은 곧, 기대하는 맛이 나올 것이다. 라는 것이죠.
잠시 언급했습니다만, 제가 스타벅스의 파트너들, 일부는 파트타이머, 일부는 계약직, 일부는 정규 채용된 분들을 뵈었고, 계약직에서 정규 고용 된 과정에서 제가 추천을 해드린 분 또한 계셨습니다만, 어찌됐던 인상깊었던 사실은 그들이 보는 상당한 두께의 매뉴얼과 정리된 프로토콜, 그리고 이른바 ‘마루닦기’부터 시작하는 훈련 과정이었습니다. 근무가 끝나고 틈틈히 공부를 하는데, 규정상 공개는 할 수 없지만 물어보니 커피의 품종과 각종 장비 사용법, 음료의 배합 등이 다뤄진다더군요.
정리하자면, 누구든지 맥도날드를 빼어난 식사라고 하지 않듯이 스타벅스 자체가 빼어난 커피는 아니지만, ‘예측할 수 있는 퀄리티’를 제공할 수 있는게 스타벅스인 셈입니다. 문제는 그 평준화된 품질에 대한 가격이 생각보다 높다는 것인데, 제대로 한다 싶은 가게를 가보면 아시겠지만 또 그게 아주 비싸다고는 할 수 없답니다. 대량 구매, 대량 배전 등 규모의 경제를 잘 따르고 있기 때문이지요. 만약 비싸다고 생각한다면 이용하지 않으면 된답니다. 커피는 필수재가 아니고 경쟁 업체도 많이 있으며, 또 잘 찾아보면 보석같은 가게가 많이 있으니까요. 햄버거가 유용한 끼니이긴 하지만 맥도날드만 먹고 사는 사람은 없지 않습니까? 더욱이 햄버거 값이 오른다고 해서 불평하는 사람도 생각보다 많지 않습니다. 커피보다 식사가 중요한데 말이죠. 끼니보다 커피가 비싸다고 불평하는것은 끼니가 커피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인정하는것인데 정작 중요한 끼니가 오르는 것보다 커피값이 오르는걸 불평하는 것보면 재미있지요.
덧. 이걸 스타벅스를 옹호하는 것이라고 보시면 곤란합니다. ^^ 제가 알고 있는 스타벅스 직원들은 요즘 뭐하고 계시는지 모르겠네요. 전부다 전보되거나 퇴직했습니다. 참고로, 제가 다니던 스타벅스 점포는 제가 사정이 있어서 못가거니와 2년전쯤 아예 헐렸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타벅스에 가면 비슷한 커피를 마실 수 있습니다. 마치 알바가 바뀌어도 빅맥이 맛이 변하지 않는것 처럼 말이죠. 이게 정말 장점이기만 할까요?

인터넷 교보문고 이용 단상

사실 저는 예스24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사실 별다른 불만은 없습니다. 가끔 삐그덕 거리는 배송이 불만이긴 하지만 몇번 이용하다보니 대강 도착하는 시간도 알고 있고, 당일 배송 자체도 무리 없이 작동하는 것 같고 말이죠(물론 어긋나면 다음날 배송보다도 늦게 배송되는 안습한 상황이 생기지만). 예스24의 경우에는 단점이 포인트 제도인것 같습니다. 사실 이건 알라딘도 마찬가지인것 같은데 5000원 이상 쌓아서, 1000원 단위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죠. 왜 내 마음대로 못쓰냐 말이죠….



사실 보통은 가격을 보고 구입합니다만, 저는 가격보다는 얼마나 그 책을 빠르게 받아보느냐가 중요한지라, 사실 은근히 오프라인에서도 구입을 많이 합니다. 온라인 서점에서 당일 배송이란 마수를 펼치기 전에는 말이죠. 새벽에 잠들기 전에 심적으로 몽롱한 상태에서 주문하고 그날 오후에 받아보는 식의 전개랄까요.



하여, 주제인 교보문고로 돌아와서, 조건 자체는 좋은 듯 하면서 나쁜 듯 하면서 네요. 가격 자체는 어중간하고, 배송료는 같지만, 배송비 면제 조건이 다른 서점에 2배가량입니다(예스24나 알라딘이 1만원 이상이라면 교보는 2만원 이상). 이번에는 일본서적이라 재고가 있는 교보에 주문하는 편이 나을 듯 싶어서 주문했는데…



배송 품질은 아주 훌륭하군요. 회사가 회사니 만큼(한진택배)… 아침 일찍 초인종을 울려서 깜짝 놀랐는데 그건 둘째치고, 포장 상태가 아주 양호합니다. 다양한(이라고 쓰고 아슬아슬한) 크기의 상자에 넣어서 약간의 완충재를 넣어서 심지어, 한두권의 경우 에어캡넣은 비닐봉투에 넣어주는 만행을 저지르는 예스24와는 달리 커다란 상자 안쪽에 책을 넣은 판자를 비닐랩으로 싸고, 판자(대지)를 본 상자에 글루건 같은걸로 붙이는 형태로 아예 옴짝달싹도 못하고 부딪혀도 손상가지 않도록 잘 고정 되어 있군요. 이게, 아마존(미국/일본)에서 이렇게 하던데 우리나라에서도 이렇게 하면 좋겠다… 싶었는데.



음, 사실 적립금 자체는 무난한 수준입니다. 보통 적립금액 자체는 거의 동일한 수준이지만 5만원 이상 주문한다고 추가로 적립해주고 우수고객이라 더 주는것 같은건 없다는게 패널티입니다, 대신 어떤 전환이나 제한 없이 쌓인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건 좋은 것 같습니다. 오프라인에서 샀을때도 적립 혹은 사용이 가능한것도 괜찮은 점 같구요.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가격과 적립금. 비교적 비싼 배송비와 이에 걸맞는 배송 품질. 딱, 이렇게 요약가능한 것 같습니다.

이후, 배송에 관하여 정정하고자 새로 글을 썼습니다. 같이 읽어주십시오.
인터넷 교보문고. 배송에 관한 칭찬 철회!

만화책을 읽고 있습니다.

요즈음 만화책을 읽고있습니다. 한창 어릴 때도 잘 안 읽던 것이고, 안읽어 버릇하다보니 좀처럼 진도가 나아가지 않는 것이 문제입니다만, 요즘에는 원서(?) 또한 섭렵하고 있습니다. 생각보다 어렵지 않더군요. 일단 일본어로 된 글을 읽을때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한자의 읽기 방법입니다만, 후리가나(작게 읽는 법을 적어놓는 주)가 달려 있어서 쉽게 읽을 수 있고, 자주 읽다보면 외우게 되는 장점도 있더군요. 전자사전 하나만 있으면 두려울게 없습니다. 물론 의성어 의태어는 좀 어렵더군요. 뭐 없어도 이해하는데 크게 지장이 없기도 하고. … 어디까지나 한국어 판이 나올때까지 조금이나마 일찍 읽어보고 싶은 까닭이지만 말이지요.

네. 저는 곰입니다. 은근히 잘 안움직이지만 한번 집념이 불타오르면 일본어 책도 구하고 마는 성격인 것입니다. 쿠오오!!!!!

성금을 내다

철이 들기 시작한 이후로, 매해 연말이 되면 약간금의 성금을 냅니다. 애시당초 시작은 크리스마스를 닥치고, 좋은 일이 일어나게 해주십사 하는 불순한(?) 의도 였습니다마는. 그런데 작년은 이래저래 금전적인 트러블이 다망했던지라. 차일피일 하다보니 빨간냄비에 5천원짜리 지폐를 하나 넣고는 해를 넘기고 말았습니다만, 대단하게 유감스럽게도, 아이티에서 지진이 나서 주의를 환기(?) 시켜주었습니다. 워낙 사태가 사태인지라, 무리가 안되는 선에서 역시 약간금을 한적에 송금했습니다.

음… 매년 내던것이라 보니 올해는 좀 넘어가도 괜찮겠지하고 약간 해이해졌나봅니다. 쩝. 어찌됐던 뭐가 크게 이뤄질만한 금액도 아니고, 무언가 바라는것도 아니지만, 약간이나마 죄책감은 줄어들었습니다. 거듭 말씀하는거지만 계기가 좀 안좋은게 거시기 하지만 말이죠.

고양이가 좋아!

유튜브에 보면 애완동물도 엄연한 하나의 장르인것 같습니다. Surprise Kitty 동영상도 그랬고 말이죠. 유튜브에는 구독 기능이 있어서 특정 사용자가 업로드하면 RSS 보듯이 볼 수 있는데요. 제가 구독하고 보는 동영상은 마루라는 고양이의 동영상입니다.

이 마루라는 고양이와 주인, 그리고 소소한 소품(종이 상자, 루어, 심지어는 서랍과 세면대 등)들이 등장하면서 유유자적 노니는 모습이 주된 테마입니다. 놀라는 고양이처럼 귀엽다거나 하진 않지만 유유자적 뒹구는 고양이를 보면 왠시리 기분이 따뜻해지고 느긋해지는 느낌이 들어서 좋습니다.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