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hone은 데이터 통신의 패러다임을 바꾼다

아이폰에 대한 글이 반응이 좋았습니다. 거기에서 몇가지 좋은 댓글을 받았습니다. 그것을 토대로 새로운 포스트를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우선 아이폰이 출시됨에 따라서 변화되는 데이터 통신의 패러다임에 대해서 말하려고 합니다.

아이폰은 정말 인터넷의 인터넷을 위한, 인터넷에 의한 기기입니다.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는 아이폰은 거의 가치가 없고, 심지어는 그 말많은 배터리도 인터넷을 끄면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이 사실입니다. 사실 배터리에 관해서는 ‘아이폰은 에반게리온이다’라고 했습니다. 아이폰이 전력 못지않게 ‘연소’시키는 것은 패킷입니다. 그야말로 ‘Packetbuster’라고 할만합니다. 마치 아이폰이라는 제트 터빈 엔진이 있다면, 과급기에 배터리와 패킷(데이터)를 한꺼번에 넣고 폭발연소 시키면서 추진하는 거라고 보면 됩니다.  
이게 왜 중요하냐면 http://news.mt.co.kr/mtview.php?no=2009042813011582362&type=1, 이 기사에서 보시듯이 통신사의 매출 성장은 거의 한계에 다다랗고 그 탈출구는 데이터 통신 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음성통화는 늘 하는 양이 정해져있고, 이제는 더 이상 폭발적인 가입자 증가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인데, 망내할인에 가족할인 약정할인 등 각종 할인이 들어가면 기본료를 비롯하여  수익은 점점 떨어지고 있는게 현실이기 때문입니다.
아이폰은 이런 상황에서 이동통신사의 고민을 타개해 줄 좋은 방안이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저만 하더라도 무선망으로 순식간에 수십메가바이트의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구나라는 사실을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아이폰은 사용하다보면 엄청난 데이터를 사용합니다.
사실 KT가 SHOW를 런칭하면서 3G의 차별점을 영상통화와 글로벌 로밍에 두었지만, 이것은 여러 인구에 회자되는 미스컨셉팅이었죠. 사실 전세계 어디를 보아도 3G 영상통화를 전면에 내세우지 않습니다. 당연한 것이 3G 라는 개념, 아니 정확하게, WCDMA 혹은 UMTS  자체가 데이터 통신을 기본으로 상정되어 나온 것입니다. 19.2kbps의 데이터를 지원하던 GSM에서 데이터 속도를 확장하기 위해서 시도된 EDGE와 GPRS에 한계를 느끼고 완전히 새로 짠것이기 때문이죠.
그리고 그 주파수 밴드가 ITU에 의해서 2.1GHz대로 정해져서 ‘글로벌 로밍’이 되게 된것이죠. 영상통화는 대역폭이 늘다보니 처리할 수 있게 된 ‘어플리케이션’에 지나지 않습니다. 특히 우리나라가 구축한 HSDPA(High Speed Down Packet Access) 망은 그중에서도 가장 최신기술로, 7.2Mbps까지 지원(그 이상도 가능하지만 현재 우리나라는 이정도까지)하는 현재  가장 빠른 데이터속도를 제공하는 3G 기술입니다.
전세계 어딜 보아도 이렇게 전국적으로 단시간에 HSDPA를 깔아 제낀 사례가 없습니다. 아직도 상당수 3G 국가에서는 전국토에서 HSDPA가 지원되지 않고 심지어는 외진곳에서는 384kbps의 UMTS나 그보다도 못한 EDGE나 GPRS로 연결되는 나라도 수두룩합니다.
이렇게 열심히 깔았음에도 불구하고, 이 좋은 시설을 냅두고 음성으로만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니 참 국가적인 낭비가 아닐수가 없습니다. 마치 아우토반에 고만고만한 800cc 경차들이 사이좋게 나란히 달리는 것이죠.
이제 이동통신의 트렌드는 데이터입니다. 2세대부터 점차로 인터넷이 시도되어서 3G에 와서는 이메일이나 모바일 웹으로 퍼져나가 4G가 되면 더욱더 강력한 초고속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 질것이라고 예상됩니다. Wibro나 WiMax 같은 것으로 보면 알 수 있듯이 고속 이동중에 고속 데이터 통신을 넓은 커버리지에서 즐길 수 있을 것이며, 기본은 데이터 통신이 주가 되고 음성은 VoIP로 이뤄질 가능성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이제까지 우리나라의 통신은 기형적으로 음성과 단문서비스(SMS)에 치우쳐왔습니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데이터를 위한 ‘고속도로’를 낭비하는 격입니다. 음성은 16kbps 정도만 있어도 되기 때문에 굳이 3G망을 까는것 자체가 낭비입니다. 데이터를 위해서인데,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이는 물론 데이터 요금이 비싸서이기도 하지만,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쓸만한 것이 많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전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의 역할을 결코 무시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WIPI 자체가 발전하지 않는 규격으로, 오늘날의 웹이나 고속화된 데이터망의 잇점을 충분히 활용할 수 없는 ‘틀’이라는 점을 주장하고 싶습니다.
오늘날의 기술과 네트워크 사정으로는 WIPI 기반 기기에서는 경험할 수 있는 강력하고 풍부한 모바일 인터넷을 즐기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 이외의 가능성으로써 시도 되었던 것이 Windows Mobile 기반의 스마트폰이었습니다만, 그것은 태생의 복잡함과 까다로움으로 인해 대중화에는 실패했고, 블랙베리와 S60 기반의 노키아 제품은 이유는 다르지만 역시 비슷한 난항을 겪었습니다.
혹자는 아이폰이 폐쇄적이고, Windows Mobile 혹은 S60, RIM 등에 비해 기능이 제한되어 있다라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그 덕분에 대중성이 확보되었고, 대중성을 확보하는 한도내에서 최대한 플렉시블한 환경을 제시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이폰의 브라우저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상당한 수준의 풍부한 모바일 커뮤니케이션과 경험이 가능합니다. 단순한 정보는 WIPI기반에서도 충분히 검색할 수 있지만, 오늘날의 대부분의 웹을 이루는 다양한 기술을 거의 반영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당히 제약이 있습니다. 즉, 다시 말해서 백번 양보해서 아이폰이 폐쇄적이라 하더라도, 대다수의 휴대폰 보다는 훨씬 넓은 경험을 가능케 한다는 것입니다.
아이폰을 이용하면 블로그를 어디서나 쓰고, 메일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고, 동영상을 시청하며, 트위터를 통해서 교류를 하고, 정보를 검색하는 일들을 할 수 있게 됩니다. 물론 그런 일을 하지 않는 사람에게는 아무것도 아니지만, 한번 맛을 들이게 되면 마치 휴대폰을 쓰다가 공중전화를 쓰지 못하는 것처럼, 더 이상은 되돌아 갈 수 없게 됩니다.
제가 아이폰을 산다고 하자 친구가 말렸습니다. ‘왜 사냐’였습니다. 나는 대답했습니다. ‘어디서나 인터넷과 소통할 수 있잖아?’ 친구는 대답했습니다. ‘인터넷을 왜 항상 해야하는데?’ 라고 했습니다. 친구는 상당한 현실 주의자였기 때문에, 인터넷보다 현실 세상을 중시하는 편이고 저는 너무나도 어릴 시절부터 네트워크와 인터넷을 접해 왔기 때문에 인터넷을 이용하는것이 생활이 되어버린 케이스였기 때문입니다. 마치, 현실에서 살아가기 위해서 사람들과의 끊임없는 교류가 필요하듯이, 현실이 되어버린 인터넷에서 역시 교류가 계속되어가지 않으면 안됩니다. 그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 아이폰이었습니다. 수시로 트위터로 전파하고, 블로그를 작성하고, 사진을 전송하며 카페와 블로그, 웹사이트의 정보를 읽을 수 있습니다. 도대체 ‘왜 그걸 항상 해야 하는가’ 라고 하면 할말이 없지만, 그 시간이 가령 전철 이동 시간이나 영화를 기다리는 시간, 쉬는 시간 같이 남는 시간이라면 시간을 활용하는 측면에서 유용하지 않을까요.
또, 인터넷이 수시로 되면서 생기는 장점은 또 어떻습니까? 버스 정류장에서 도대체 어떻게 버스로 갈것인가 고민하지 않고, 그냥 어플리케이션을 돌려서 목적지까지 가기 위해서 어디서 어떤 버스를 타고 어디서 갈아탈지 알아볼 수 있고, 내가 탈 버스가 몇정거장 전에 있는지 궁금해 할 필요가 없습니다. 내가 도대체 어디로 가는지와 내 주변에 무엇이 있는지에 대한 정보도 손에 넣을 수 있습니다. 도저히 셀수 없을 정도로 많은 활용이 있고 앞으로 더 늘어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상의 모든 어드밴티지들은, 데이터 사용량을 비약적으로 늘려 줄 것입니다. 아이폰 자체도 대단하지만, 이런 다양한 활용이 점차로 확대되어간다면, 데이터 통신의 사용은 비약적으로 늘어날 것입니다. 앞으로의 대세는 데이터 통신이고, 그것을 위해 최적화 된 기기가 스마트폰, 특히 아이폰입니다. 패러다임은 데이터로 변할 것이며, 그 첫단추는 아이폰이 될것입니다. 앞으로 많은 기기들이 좋건 싫건 인터넷과 소통하는 기기로 변모할 것입니다.
이렇듯 아이폰이 데이터 통신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습니다.

Posted

in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