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P3 문제 – 오픈된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가 필요하다

DRM의 폐단
나는 게으르다. 음악을 구해서 다운로드 받는 일이 큰일이다. 그래서 나는 MP3P에 음악이 질릴때즘 되면 한꺼번에 CD를 사서 리핑하거나 다운받아서 집어 넣곤 한다. 솔직히 말해서 ‘온라인’ 구매도 생각해본것은 사실이다. 찾기 귀찮은 것도 있지만, 역시 양심문제도 있다. 하지만 이내 포기해버린다. 사이트마다 음원확보문제로 없는 곡도 있는데 이는 제각각이다. 멜론을 비롯해 모든 업체가 음원을 다수 확보하고 있다고 우위를 주장하지만 막상 문제는 내 기계가 그 사이트를 지원하지 않으면 들을수도 없다는게 문제이다. 돈주고 받아놓고도 변환이니 뭐니 해서 복잡한 절차는 남아있다. 이래가지곤 공짜로 받아서 그냥 복사해 넣는편이 골치아프지 않다.

DRM 자체가 문제인 까닭
문제의 발단은 이를테면 DRM은 여러 경제정치적인 구속장치로 사용된다는 점이다. 요컨데 음반사측은 DRM을 통해 자신의 곡이 복제되어 경제적인 이득이 줄지 않기를 기대한다. 또, 음악서비스 업체는 DRM을 통해서 자사 서비스를 이용하고 요금을 지불한 사용자만이 곡을 들을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애플과 대다수의 MP3P 업체들이 그렇듯이, DRM을 또 자사 MP3P에 사용자를 붙들게 만드는 수단으로 이를 사용한다.

이 삼각의 축이 서로 호환되지 않는(proprietary) DRM의 폐단을 낳게 되었다. 권리자들은 어떻게 하든 복제만 되지 않으면 된다는 입장으로 방관만 하고 있고, 결국 서비스업체와 MP3P 업체의 문제인데, 그 둘로서는 전용 DRM을 쓰는것이 이득이다. 이를테면 ‘A’라는 서비스업체가 ‘가’라는 MP3P 업체가 제휴를 맺으면, A라는 업체는 전용의 DRM을 씀으로써 자사의 곡 판매가 지속이 되고, 가 업체 입장에서는 A 업체의 사용자를 끌어 들일 수 있으며, A  사에서 산 곡을 계속 듣기 위해서 자사의 플레이어를 사용하게 될 것이며, 또 그 플레이어에 맞는 곡을 A는 판매할 수 있다 라는 에콜로지가 성립한다.

덕분에 황폐해진 디지털 음원 시장의 포텐셜
덕분에 디지털 음원 시장의 포텐셜은 황폐해졌다. 요컨데 A에서 제공하지 않는 음원이 있다 생각해보자, 만약 그 사람이 불법 루트를 이용할 생각이 아니라면 경쟁사에서 음악을 찾을 것이다. 이 회사를 B사라 해보자. B사에는 A사에 없는 음원이 있다지만, B사에선 나 회사의 MP3P를 지원한다. 혹은 도시락과 멜론을 전부 지원하는 아이리버 제품처럼 한 대에 한 회사만 지원되는 경우도 있다.

결국 이런 경우에는 불법음악을 받는것이 길이 된다. 아마도 여기서 가장 커다란 문제는 DRM 솔루션의 경쟁일 것이다.

DRM 솔루션의 경쟁
DRM 솔루션을 제공하는 회사가 여럿있다. 어떤 회사는 독자적으로 개발해 쓰기도 하지만, 서드파티 솔루션을 쓰는 경우가 대체적일것이다. MS를 쓰는 쪽도 있고, 국내 중소기업의 제품을 쓰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어찌됐던 이 회사들의 경쟁 덕택에 이 모든 문제가 발생하게 된 것이다.

아나로그에서 관점
요컨데 생각해보자. 이런 상황을 아날로그 식으로 해석하자면,  어떤 CDP(CDP는 디지털이지만 그냥 편의상 아날로그라고 한다)는 그 CDP 제조사와 계약된 가게에서 판매한 디스크만 틀수 있다. 뭐 이런 것 아닐까? 말이 안되는 이야기다. 어디에서 사던 어떤 기계로 듣던 그것은 소비자가 결정하여야 할 일이다. 만약 이러한 상황이 개선이 되지 않는다면 디지털 음악의 미래는 없다.

DRM의 업계 표준이 필요한 까닭
그것이 DRM의 업계 표준이 필요한 까닭이다. 마치 ‘컴팩트 디스크’라는 물리적인 표준 규격과 같이 표준의 복사 방지 대책을 마련해야한다. 그래야 사용자가 원하는 곡을 원하는 가격과 사용제한을 건 장소에서 좋아하는 기계로 플레이 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DRM 업체들과 컨텐츠 유통업체는 단일한 규격을 만들어 규격에 준수하는 각자 나름대로의 플랫폼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자사의 방식이 독점적으로 사용되면 지금 당장은 나을런지 모르지만, 결과적으로는 디지털 음원의 축소만을 가져올 것이다.


Posted

in

by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