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CD를 죽였는가? (속)

이전의 포스트 ‘누가 CD를 죽였는가’에서 ‘어뮤즈먼트 된 음악’을 주제로 이야기 하였다.  이제 어떻게 해야 음악 업계가 살아날까? 답은 영화에서 나와있다. 아무리 음악이 녹음이 잘되고 잘 마스터링 된 음반에 담겨 있다 할지라도 그것은 레코드(record)일뿐이고, 원본이 될 순 없다. 한편으로 MP3 이상으로 한국 음악/문화계에서 최대로 화두가 된 것은 내 생각에는 ‘뮤지컬’이라고 생각한다. 대중적이고 기발한 뮤지컬들은 대학로를 떠나서 대규모 극장에서 상영되면서 점점 대중화를 꾀했고, 지방 공연장을 돌면서 그 기반을 넓혀갔다. 뮤지컬과 음악이 무슨 상관? 이라고 생각한다면 지난해 대 히트를 쳤던 맘마미아!가 전부 아바(ABBA)의 기존 히트 곡을 가지고 어레인지 한 것임을 상기 했으면 좋겠다. 결국은 음악을 해서 가장 수익이 좋은 장사는 음반이 아니라 공연이 되는 것이 올바르다. 구미의 밴드들이 음반 수익과 더불어 가장 소중하게 여기는 것이 공연이 되고 있다라는 점은 주목해야 한다.

그럼 이부분은 이쯤 매듭짓고, 나머지는 디지털 음원에 관한 문제이다. 컨텐트를 향유하였다면 광고를 통해서던 어떤 방법에서던 그 가치를 지불하는 것은 음식을 먹고 값을 치르는 것처럼 당연한 문제이다. 그러나 그런 당연한 문제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왜일까?

다분히 이상주의적인 발언이지만, 일단 음반을 지키기 위해 탄생한 DRM 자체가 그러한 장해의 요인이 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정말 회사마다 가지가지 다르다.  차라리 미국처럼 어떤 회사가 거의 시장 지배적인 사업자라서 그 방식으로 반은 통일이 되는 방식이라면 좋겠는데 그것도 아니라서 이 사이트 저 사이트, 이 MP3 저 MP3가 다르다. 심지어는 휴대폰의 경우에는 이동통신사에 따라서 즐길 수 있는 음악 사이트도 차이가 난다. 그러니 iTunes처럼 CD로 구워서 다시 리핑하는 이중의 수고를 거쳐 음질 손상을 감내해가면서라도 들을 수 없는 지금의 구조에서는 어떻게 해볼 도리가 없다. 게다가 DRM의 종류에 따라서 심지어는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게 있고 없는게 있다. 장난하나?

그리고 그 가격 문제이다. 으음… 솔직히 말해서 인터넷 혁명이 한창 불던 90년대 말부터 2000년대 초엽에는 컴필레이션 CD가 유행을 한적이 있다. 인기있는 곡, 어떤 테마에 맞는 곡만 ‘골라 골라’서 담은것이었다. GM뮤직이었나? 잘은 모르겠는데 조성모를 발굴한걸로 유명한 어떤 음반 기획사 사장(맞다고는 장담 못하겠다… 하도 오래돼서)이 이미연을 내세워서 ‘연가’인가 내서 히트 친 이래로 내리 ‘줄연타’를 쳐서, 컴필레이션 CD 계의 대부 취급을 받았던 적이 있더랬다. 이미 그때부터 지금처럼 곡 단위로 다운로드 받아서 즐기는 추세가 올 거라는 것을 예측했어야 했다. 정규 앨범이 안팔리고 그런 ‘변종’이 판치는 것은 이미 그런 위기가 올것이라는 신호였던 것이다.

이전의 포스트에서 얘기했다시피 이제는 디지털 컨텐트를 받는데 있어서 비용 장벽은 거의 사라지다시피 했다. 이전의 포스트의 글을 남겨주셨던 와니 님의 포스트 ‘돈 때문에 음악을 관두지 않아도 되는 세상’에서 말씀하시기를…

 

얼마전 읽은 미국의 컴퓨터 음악잡지에서 그러더군요. 미래의 음악은 마치 물처럼 쓰이게 될거라고 말이죠. 물처럼 원하는 음악만큼 듣고, 매달 수도요금을 내듯이 정산을 하는 그런 시대가 올거라고 하더군요. 정확히 그런 모델이 될지는 모르지만 뭔가 MP3를 이용한 새로운 길을 찾아야할것 같습니다.

내 생각도 이것과 정확히 일치한다. 이미 이러한 움직임은 이미 스트리밍 사이트들이 시작했다. 하지만 이것은 오롯이 얌전히 앉아서 PC로만 즐길수 있는 것이었는데, 그러한 것을 바꾼 이들이 SK의 멜론(MelOn)이었다. 5000원을 내면(이는 대개의 MP3의 앨범 다운로드 요금과 같거나 싸다), 자사의 라이브러리에서 무제한 다운로드를 하고 기간동안 들을 수 있다라는 발상이었다.  여기에 초기에는 많은 음반사가 반대를 하고 음원을 주지 않아 초기에는 고전을 했지만 가입자 수와 음반사 인수라는 방법으로 이제는 효과적으로 ‘무장해제’당한 듯하다. 물론 이 방법(Subscribed Download)은 미국에서 이미 여러회사, 특히 MS가 시도했던 방법이었고 스티브 잡스(Steve Jobs)는 이러한 다운로드 방식이 불합리하다 해서 ‘영원히 소유하는 개념’의 iTunes Music Store를 만들었지만….  개인적으로 그건 앨범이 어느 정도 팔리던 구미의 사용자들에게 디지털 음악 판매를 제안한것이고,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대안적인  방법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더더욱이나 이러한 방식으로 우리나라 사용자들에게 어찌됐던 ‘음악을 위해서 지불한다’ 라는 개념을 주입시킨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게다가 지불방법도 SK텔레콤 휴대전화에 자동 합산하거나 다른 소액결제수단을 이용하는 등 그다지 나쁘지 않다.

아울러, 사용자로써는 영화를 한편 볼 정도의 가격으로, 이용하기에 따라선 얼마든 저렴하게 좋은 품질의 곡을 빠르게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저작권자나 인접권자, 실연자는 그 댓가를 얼마나마 받을 수 있지 않은가? 더더욱 멜론에서 고무적인 것은 아이리버나 코원 등 메이저 업체를 구슬리는데 성공했다는 것이다. 덕분에 상당수의 MP3 플레이어와 SK 텔레콤 휴대폰에서 멜론 MP3를 얼마든 들을 수 있게 되었고, ‘가입형 다운로드(Subscribed Download)’ 특성상 일정 기간 동안의 향유할 권리를 돈을 지불하고 구입한것이므로, 기기가 바뀌어서 이를테면 KTF 휴대폰으로 바꾼다고 해도 그냥 도시락으로 바꿔타면 그만이다. 다운로드 하느라 수고는 할지언정 금전적 손해는 일절 없다. 다운로드 방식의 서비스들이 DRM과 MP3, 컴퓨터가 다르면 돈을 주고도 들을 수 없는 무용지물이 되는 것과는 상반된다.

아마도 내 생각에는 이러한 서비스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앞서 인용한 와니 님의 글대로 근본적인 변화가 있을 것이다. 우리가 십년전에 테이프나 음반을 사서 음악을 주로 듣던 시절에는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 한달에 월 사용료로 59,700원(부가세 제외, 당시 아이네트기술을 통한 PPP 접속 및 유닉스 쉘 계정 요금)를 내야 했고, 전화요금도 3분당 45원씩 내야 했다는 거 알고 계신가? 지금은 그것의 수백배에 달하는 속도의 라인을 24시간 365일 언제고 정액의 요금으로 사용하고 있다.

음악이나 더 나아가서는 동화상 컨텐트 마저 그럴 공산이 크다고 본다(이미 그것은 ‘하나TV’에서 실행중인것 같다).

추가: 한편으로는 이런 생각도 해본다. 표준화된 다운로드 규격을 오픈소스로 만들어 보안 시스템을 만들고, 미디어몹이나 올블로그 같은 메타블로그가 수집하듯이, ‘메타 다운로드’ 사이트를 만들어서 표준화된 지불 방식을 만드는 것이다. 그런 다음 와니님 같은 분들의 사이트에 ‘곡 구입하기’ 버튼을 넣어서 자신의 곡의 온라인 쇼케이스를 보이는 것이다. 그런 다음 구입을 하면 어떨까? 라는 생각을 포스팅하고 하게 되었다.


Posted

in

by

Tags: